(국내) 제약&바이오/리포트 읽기

9월 9일 리포트 주요 내용 정리 (제약&바이오)

|Jerry| 2021. 9. 16. 11:14

인스코비
인스코비
인스코비
멜리틴. 과연 효과 있는 게 맞나?

 

그러나, 

https://acir.org/weekly-digests/2020/march/bee-venom-throws-a-one-two-punch-to-kill-the-tumor

 

Bee venom throws a one-two punch to kill the tumor

Yu and Dai et al. developed a one-two punch nanovaccine comprising a lipid nanoparticle (NP) loaded with melittin (a peptide found in European bee venom), called α-melittin-NP. The vaccine, which contained no tumor antigens, promoted the release of whole-

acir.org

 

그냥 멜리틴 성분과 멜리틴을 나노입자 (Nanoparticle; NP)에 결합한 것 (당연히 후자가 기술력 ↑)을 비교해봤더니, 일단, 두 개 모두 종양세포막을 더 투과성 있게 만들고 체내 종양 항원의 방출을 유도한다는 사실이 있었습니다. 실험쥐는 왼쪽 옆구리에 종양을 이식시키고, 멜리틴 성분도 왼쪽 옆구리에 주입을 하는 방식의 생체 모델로 사용되었습니다. 정도의 차이로는 멜리틴 성분만 주입했을 때는, 전체 실험군 중 10%가 왼쪽 옆구리 종양이 없었고, 오른쪽 옆구리로 전이된 종양을 없앤 것은 없었다고 하고, 멜리틴-NP는 왼쪽 옆구리는 70%, 오른쪽 옆구리는 50%가 없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는지 살펴본 결과, 종양 주입 부위에서는 항균 반응을 검출할 수 없었고 (측정 불가), 전이된 부위에서 종양이 줄어든 것은 멜리틴 성분때문이 아니라 그냥 전신 면역 반응때문이었다고 합니다.

 

Examining the antitumor response in more detail, the researchers observed that α-melittin-NPs were mainly found in the injected tumor site, and were practically undetectable in the contralateral tumor, suggesting that the reduced growth of the distant tumor was due to a systemic immune response, and not due to direct tumor cell killing by α-melitti.


그래서 그만 알아봐도 될 것 같습니다. 저 연구내용을 반박하는, 혹은 새로운 기전이 발견되지 않는 이상, 저는 인스코비라는 회사를 최소한 봉독이 효능이 좋다, 가능성이 있다, 이런 얘기가 나오더라도 사지 않을 것 같습니다.

 

메디톡스.

눈에 걸리는 부분 2가지는 1. "임상3상 결과에서 문제가 없을 경우", 2. 파이프라인 가치 조정이 악재 Y or N에 대한 여부입니다.

 

앱클론.

국내 임상1상이라 별로 기대는 안됩니다.

 

에쓰씨엔지니어링

2023년 완공될 공장이 어느 정도 성과를 낼지가 관건일 것 같습니다 (바이오 관점에서 봤을 때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