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 개요 참고
2021.11.07 - [(국내) 제약&바이오/종목 분석] - 2022 관심종목 스터디 -1-; (207940)삼성바이오로직스, (000100)유한양행
2022 관심종목 스터디 -1-; (207940)삼성바이오로직스, (000100)유한양행
| 서론 안녕하세요, 제리입니다. 제약&바이오, 이어서 헬스케어 섹터의 2022년 전망이 어떨지 공부를 하면서 한 번 찾아볼만 하지 않겠나 싶은 종목들을 골라봤고, 대략 11개의 종목이 나왔습니다.
jerry-stories.tistory.com
2021.11.25.
http://www.medisobiz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83214
삼바-그린라이트社와 mRNA 백신 원료 생산 협업 - 메디소비자뉴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미국 생명공학 기업 그린라이트바이오사이언스(GreenLight Biosciences)는 mRNA 코로나19 백신 제조 역량 구축을 위한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현지시간 24일 발표했다.파트너
www.medisobizanews.com
파트너십은 임상 3상 시험을 위한 그린라이트의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생산과 승인 후 판매를 목표로 한다. 협약에 따라 그린라이트 제조 기술을 삼성바이오로직스에 곧바로 이전 한다.
...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존 림(John Rim) 대표는 ·······. “이번 협력은 우리가 원료의약품(DS)부터 출시까지 원스톱 mRNA 완제 공정(Aseptic Fill & Finish)을 시작함으로써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중요한 이정표”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글로벌 백신 수요가 시급한 시기에 바이오 의약품 생산의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코로나19와 맞서고 한국 백신 허브 목표를 달성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2021.11.26.
삼바, mRNA 백신 원액 위탁생산 나선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미국 ‘그린라이트 바이오사이언스’에서 개발하고 있는 코로나19 mRNA 백신의 후보물질 원료의약품(DS) 위탁생산(CMO)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두 회사는 저소득
n.news.naver.com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미국 ‘그린라이트 바이오사이언스’에서 개발하고 있는 코로나19 mRNA 백신의 후보물질 원료의약품(DS) 위탁생산(CMO)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두 회사는 저소득국을 시작으로 전 세계에 코로나19 mRNA 백신 임상시험, 상업생산, 현지 백신보급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그린라이트 바이오사이언스는 아프리카 내 연구 지역 및 임상파트너를 최종 확정한 후 규제 승인을 거쳐 내년 1분기에 백신 후보물질에 대한 임상시험 1상을 시작할 예정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모더나의 mRNA 백신 완제생산(DP)을 수주한 데 이어 원액생산 능력까지 갖춘 CMO업체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원액 CMO는 완제생산과 비교해 수익성이 월등하게 높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내년 상반기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cGMP) 승인을 목표로 인천 송도공장에 mRNA 백신 원료의약품 생산 설비를 구축하고 있다.
2021.12.14.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015&aid=0004640222
아스트라제네카, 삼바 CMO 계약 확대…면역항암제도 생산
아스트라제네카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체결한 위탁생산(CMO)의 범위를 면역항암제로 확대한다고 14일 밝혔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아스트라제네카의 장기지속형 코로나19 항체복합제 'AZD7442'를
news.naver.com
아스트라제네카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체결한 위탁생산(CMO)의 범위를 면역항암제로 확대한다고 14일 밝혔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아스트라제네카의 장기지속형 코로나19 항체복합제 'AZD7442'를 생산하고 있다. 내년부터는 면역항암제 임핀지의 생산도 시작한다는 설명이다. 계약 규모는 3억8000만달러(약 4490억원)다.
양사는 2020년 9월 AZD7442에 대한 3억3100만달러의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했다. 여기에 임핀지를 추가했고, 계약 금액은 약 580억원 늘어났다.
...
AZD7442는 아스트라제네카가 코로나19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 개발 중인 두 개 장기지속형 항체제제(틱사게비맙, 실가비맙)의 복합제이다. 국내는 허가되지 않았지만,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긴급사용승인(EUA)을 받은 최초의 항체 제제다. 미국 외에도 프랑스 이탈리아 바레인 등에서 사용을 승인받았다.
임핀지는 한국을 포함한 다수 국가에서 폐암 치료제로 허가됐다. 다른 암종에서의 연구도 여러 건 진행되고 있다고 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에서 생산한 두 의약품은 세계 여러 국가에 공급될 예정이다.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14989
삼바, '모더나 백신' 식약처 품목허가.."해외 수출가능"
모더나코리아(Moderna Korea)는 삼성바이오로직스(Samsung Biologics)가 완제 위탁생산한 모더나 코로나19 mRNA 백신 ‘스파이크박스주 (Spikevax®, mR
www.biospectator.com
2021.12.15.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119&aid=0002557546
'수출 활로' 개척한 삼바…다시 뜨는 바이오‧헬스株
[데일리안 = 이충재 기자] BBIG(2차전지·바이오·인터넷·게임) 중 핵심이었던 바이오·헬스케어주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위탁 생산 중인 코로나19 모더나 백신의 해외 수출길
news.naver.com
특히 시장에선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생산한 모더나 백신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조판매 품목허가를 받으면서 수출 활로를 개척한 것을 '제2 반도체 신화'라고 평가하며 바이오산업이 도약하는 발판이 마련됐다고 보고 있다.
삼성증권은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항체 의약품 생산 수요 확대로 4공장 신규 수주 확보에 따른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된다"며 "추가로 세포·유전자 치료제 CDMO 시장 진출을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도 확보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더욱이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요 선진국이 고령화 시대에 진입하면서 바이오헬스 산업의 구조적 성장성에 대한 기대감은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가시적으로는 국내 바이오 기업들이 코로나19 백신의 위탁생산 기지로 입지가 확대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했다.
임윤진 대신증권 연구원은 "CMO(위탁생산), CDMO(위탁개발생산) 시장은 코로나19로 인해 급성장하고 있다"면서 "부족한 글로벌 백신 공급과 새로운 변이 등장, 부스터샷과 치료제에 대한 수요는 글로벌 CMO 기업의 생산설비 투자와 기지 확대 견인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무엇보다 증권전문가들은 그동안 바이오 관련주의 발목을 잡아온 변동성 확대 문제도 차츰 해소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오미크론 변이의 증상과 치명률 등에 대한 연구결과가 공개되면서 불확실성 해소된 데다 변이 출현에 따른 '학습효과'도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형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오미크론 변이의 증상과 예방, 치명률 등에 대한 연구결과가 공개되면서 불확실성 해소됐다"면서 "낙폭이 컸던 코스닥 제약 지수의 반등이 컸으며, 향후 또다른 변이 출현 시 학습효과로 인해 제약바이오 업종의 변동성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윤혁진 SK증권 연구원은 "코로나19로 모든 자원이 집중되고 상장심사가 강화되면서 올 한해 부진했던 바이오 주식이 12월 들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면서 "향후 '1월 효과'와 중소형주 효과를 감안할 때 연말·연초에는 낙폭 과대 신규 상장 주식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https://finance.yahoo.com/news/u-blacklist-dji-seven-other-070924027.html?guccounter=1
U.S. to Blacklist DJI and Seven Other China Firms, FT Reports
(Bloomberg) -- Shares of China’s biggest chipmaker and several of its largest pharmaceutical firms sank on Wednesday on fears that Washington will slap investment and export sanctions against more companies. Wuxi Biologics Cayman Inc. tumbled a record 25
finance.yahoo.com
요약: 생명공학 분야 포함 24개 이상의 중국 기업에 대한 미국 기술 수출 제제 가할 계획이라고 FT 보도하면서 우시(Wuxi) 시노(Sino) 등 주가 하락.
이날 약 20% 정도 급락
2021.12.16.
https://mkind.krx.co.kr/viewer?acptNo=20211216000001#
[삼성바이오로직스]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한국거래소 공시뷰어
mkind.krx.co.kr
https://www.ajunews.com/view/20211216142712340
[중국 마이종목] 中제약사 우시바이오, 자사주 매입에 하루 만에 반등 | 아주경제
※중국 마이종목은 주식시장에서 이슈가 되는 중국 종목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마이는 중국어로 사다(買)와 팔다(賣)를 모두 뜻하는 단어입니다. 영어로는 나(My)를 뜻하기도 하죠....
www.ajunews.com
우시 바이오 주가가 자사주 매입 소식에 하루 만에 반등했다.
홍콩증권거래소에서 우시바이오 주가는 16일 오후 1시50분(현지시간) 전 거래일보다 9.86% 급등한 86.90홍콩달러에서 거래되고 있다.
...
다만 전날 낙폭을 만회하기엔 역부족이었다. 15일 우시바이오의 주가는 19.24% 급락한 79.10홍콩달러로 장을 마쳐 상장 이래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미국 정부가 바이오테크 관련 중국 기업을 거래 제한 명단에 올릴 것이라는 소식이 악재로 작용했다. 이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 상무부가 오는 16일 24개 이상의 바이오테크 관련 기업을 일종의 블랙리스트인 거래 제한 기업 명단에 올릴 것이라고 보도했다. 상무부 블랙리스트에 오른 기업의 경우 미국 정부 허가 없이는 미국 기업에 제품이나 기술을 수출할 수 없다.
참고)
시총이 전날 대략 63조였는데, 하루 새 56조 8,225억 8,232만 원이 됨.
ㅋㅋㅋㅋㅋㅋㅋ
'(국내) 제약&바이오 > 이슈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바이오로직스 관련 뉴스 (2021.11.09.) (0) | 2021.11.15 |
---|---|
'글로벌 백신허브화 가속…삼바 등 민간기업 3년내 6.3조 투자' 기사 (0) | 2021.11.02 |
몰누피라비르 관련 뉴스 업데이트 (부제: 삼성바이오로직스 위탁생산 계약?) (0) | 2021.10.03 |
(긴급) 삼성바이오로직스 관련 뉴스 (0) | 2021.09.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