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제약&바이오/산업 이해

진단 키트의 미래

by |Jerry| 2021. 9. 27.

| 서론

안녕하세요, 제리입니다. 

 

코로나 확진자 수는 도대체 언제 줄어들지...전혀 감이 안잡히는 요즘인데요.

 

최근 나오는 코로나 19 진단을 위한 혹은 기타 키트 관련 기업들에 대한 리포트를 읽어보던 중 과연 내년에도 진단 키트에 대한 수요가 지속될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들었습니다.

 

글은 크게 두 파트로 나뉩니다. 먼저, 1.과 2.에서 기본적인 정보들을 알아볼 것이구요, 그 다음 3.과 4.에서 매수와 매도 관점으로 나누어 같은 정보들을 어떻게 판단할 지, 혹은 반대 입장의 주장이나 근거들을 반박하는 내용을 적어보려고 합니다. 

 

| 목차

1. With 코로나 전략에 대한 이해

2-1. With 코로나 시행 국가들 사례

2-2. 백신 수급 불균형과 저소득 국가의 진단 수요

2-3. 진단업체들 현황 및 미래 점검

3. 매수 관점

4. 매도 관점 (= 매수 반대 관점)

5. 개인적 의견


 

1. With 코로나 전략에 대한 이해

 

배경

 

2020년 3월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바이러스(COVID-19)를 유행병으로 선포했습니다.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감염과 사망에 대응하기 위해 많은 나라들은 자신들만의 방역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에 따라 발생하는 불가피한 비용들과 많은 경제적 손실이 발생했습니다. 또, 새롭게 등장하는 변이 바이러스들과 기존의 백신이 각각의 변이들에 모두 효과가 있는지 의구심이 증가하는 상황입니다. 이에 일부 국가들은 코로나 19를 계절성 독감처럼 인류와 공존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지금까지 조여왔던 규제를 풀고 경제회복에 초점을 맞추는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With 코로나 전략'의 등장 배경입니다.

 

With 코로나 전략이란 무엇인가?

 

이름에서부터 알 수 있다시피 코로나 19와의 공존을 하겠다는 전략입니다. 그 전략으로 1) 백신 접종률 증가 2) 백신 접종 주기화 3) 코로나 치료제 개발 4) 마스크 착용 의무화 해제 5)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6) 사적모임 인원 제한 완화 등의 규제 완화 등이 포함됩니다. 궁극적으로는 일상적인 감기로 취급하는 것이나, 현재 계속해서 변이가 등장하는 등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하고 있어 곧바로 모든 규제를 풀지는 못할 것 같습니다. 현X재 시행하고 있는 국가들도 단계적으로 규제를 완화하는 방식으로 'With 코로나 전략'을 구사하고 있습니다.

 

2-1. With 코로나 시행 국가들 사례

 

1) 영국

 

<현재 시행하고 있는 주요 정책 및 상황>

  • 백신 여권 도입 정책 철회
  • 마스크 착용 여부는 선택
  • 실내외 모임 규모와 식당, 극장, 스포츠 경기 등의 수용 인원 제한 해제, QR 코드 스캔 불요구
  • 유흥주점 영업시작, 결혼식과 장례식 등 참석 인원 제한 해제, 종교 의례 행사 가능
  • 영국서 승인한 백신 맞았다면 (2차) 여행자 역시 PCR 검사 의무화 및 격리 X
  • 하지만, '적색 국가들'에 한해서는 PCR 검사를 해야함
  • 무료진단검사 (검사소, 약국, 우편으로 검사키트를 배송해주고 스스로 관리 가능하도록 유도)
  • 8월 중순부터 접종 완료자 코로나 확진자와 접촉 사실 있어도 자가 격리 불필요

영국 관련 통계.

<최근 소식>

  • 백신 접종률

2021.09.24. 기준 백신 접종률

  • 영국 12~15세 백신 접종 시작

https://m.dongascience.com/news.php?idx=49329 

 

영국 12~15세 백신 접종 시작, 국내도 4분기 아동·청소년 시작…당신이 알아야 할 것들

내주부터 영국에서 만 12~15세를 대상으로 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이뤄진다. 앞서 13일(현지시간) 잉글랜드와 웨일스, 스코틀랜드, 북아일랜드의 최고 의료

m.dongascience.com

내주부터 영국에서 만 12~15세를 대상으로 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이뤄진다. ··· 전문가들은 기저질환을 가진 아동 청소년층의 경우 코로나19에 감염되면 그 위험성이 커 접종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아동 청소년층 전체에 대한 백신접종 여부는 전문가들 사이에서 갈리고 있다. 잉글랜드의 CMO이자 영국 정보 의료자문위원장인 크리스 휘티 교수는 14일(현지시간) 가디언에 “개인이 백신을 맞아 얻을 이익과 백신 접종으로 학교 교육을 받게 되면서 얻을 이익, 전체 공중보건적 이익의 균형을 따져 만 12~15세 백신접종 권고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이어 “백신 접종이 코로나19의 전염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상당한 비율의 학생이 백신을 맞으면 학교 또는 학교와 관련된 지역 발병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을 줄이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참고) 전문가들에 따르면, 청소년의 경우 1회만 접종할 것을 권고했다고 합니다.

 

<기타 참고 뉴스 및 기사>

https://www.thescoop.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938 

 

[Weekly Global] 영국, “봉쇄 없다” 위드 코로나 선언 - 더스쿠프

[英, 백신 여권 철회]“봉쇄 없다” 위드 코로나 선언영국이 코로나19 백신 여권을 도입하겠다는 정책을 철회했다. 영국 공영방송국 BBC와 텔레그래프 등 주요 언론은 12일(현지시간) “사지드 자

www.thescoop.co.kr

https://www.youtube.com/watch?v=f_TIZbmp0sY 

https://www.youtube.com/watch?v=WVLMq9ixe80 

2) 싱가포르

 

<현재 시행하고 있는 주요 정책 및 상황>

  • 단계적 완화 방침 선언
  • 공공시설에서 체온 측정 중단
  • 감염자 집계 중단
  • 감염자 감염 경로 추적 중단
  • 코로나 19 백신 접종자 기준 감염되더라도 증상이 가벼우면 집에서 회복
  • 마스크 의무화는 유지
  • 백신 접종을 마친 사람 기준으로 사적 모임 인원을 2명→5명으로 완화
  • 500명 이상의 행사 허가 (공연, 스포츠 경기 관람 인원은 백신 접종 자에 한해 기존 500명→1000명으로 증가)
  • 재택 근무는 8월 19일부터 완화하기 시작해 최대 50%까지 사무실 출근 허용
  • 나머지 규정들은 대부분 유지
  • 음식점 등 감염위험이 높은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종업원에 대해 도입을 추진해 온 정기 간이 코로나 검사는 올해 7월 15일부터 본격적으로 도입, 의무화

싱가포르 관련 통계.

 

<최근 소식>

  • 백신 접종률

2021.09.24. 기준 백신 접종률

 

  • 확진자 급등세에 따라 초등학교 전면 원격수업 체제로 전환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549988 

 

싱가포르 ‘위드 코로나 포기 가능성…초등생 원격수업 전환 - 이코노믹리뷰

[이코노믹리뷰=황진중 기자] 싱가포르가 코로나19 확진자 급증세에 따라 초등학교 전면 원격수업 체제로 전환한다. 직장인은 재택근무를 기본으로 하고, 식당에선 최대 2명이 식사를 할 수 있게

www.econovill.com

  • 싱가포르 확진자 급증, 그 안에 숨겨진 의미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284495 

 

[특파원 리포트] “확진자 천 명도 괜찮아”…싱가포르 ‘위드코로나’의 숨은그림 찾기

싱가포르, 참 특이한 나라입니다. 인구 570만. 1인당 국민소득은 6만 5천 달러(월드뱅크 2019)로 덴마크나...

news.kbs.co.kr

 

<기타 참고 뉴스 및 기사>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49456 

 

접종률 82% 싱가포르와 부스터샷 선도국 이스라엘에선 왜 최다 확진자 나올까

코로나19 백신 접종 완료율이 인구 대비 82%를 넘으며 코로나19와 공존하는 일명 '위드 코로나' 중인 싱가포르가 최근 빠르게 재확산하고 있다. 하루 신규 확진자가 1500명을 넘으며 코로나19 대유

www.dongascience.com

https://www.news1.kr/articles/?4430133 

 

'K-위드 코로나'의 길…롤모델 싱가포르 “확진자 보고 않겠다”

사실 앞에 겸손한 민영 종합 뉴스통신사 뉴스1

www.news1.kr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05091#home

 

"이젠 미래 계획할 수 있다" 접종완료 81% 싱가포르의 '위드 코로나'

현지 교수가 '위드 코로나' 개념을 전했다.

www.joongang.co.kr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1092212590002625

 

'접종 82%에도 확진 급증'... 싱가포르 '위드 코로나'는 실패했나

싱가포르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최근 급증하면서 '위드 코로나(코로나와 공존)' 정책이 도마에 올랐다. 백신 접종률이 8할 이상이어도 '집단 면역'에 도달하기보다 '

m.hankookilbo.com

 

2-2. 백신 수급 불균형과 저소득 국가의 진단 수요

 

전 세계 인구의 약 44%는 백신을 접종했지만, 저소득 국가의 경우, 전체 인구의 약 2%만이 최소 1회 이상의 접종을 했다고 합니다 (2021.09.25.기준). 아래의 사이트에 들어가면, 백신 접종률 통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계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ourworldindata.org/coronavirus

 

Coronavirus Pandemic (COVID-19) - Statistics and Research

Country-by-country data and research on the pandemic. Updated daily.

ourworldindata.org

 

 

2-3. 진단업체들 현황 및 미래 점검

 

2021.09.15. 한화투자증권 김형수.

 

2021.09.15. 한화투자증권 김형수.

https://www.youtube.com/watch?v=Cqfmx7En-TA 

분자진단 검사가 필요한지에 대한 내용.

코로나 19 검사 방법.

 

2021.09.15. 한화투자증권 김형수.
2021.09.15. 한화투자증권 김형수.

👏🏻👏🏻 정리하면, 주요 포인트는

1 백신 공급이 부족한 국가들에서 진단 검사 수요가 얼마나 될 것인가 + 신속진단과 분자진단의 수요 중 어떤 것이 더 높을 것인가

2 코로나 치료제가 나오더라도 정확한 진단을 위해 분자 진단 수요는 지속될 것임

3 독감처럼 병원에서 신속항원항체키트로 진단하려면, 코로나 19에 대한 민감도(*)와 특이도(*)에 대한 부분이 분자진단만큼 안정화가 되어야 함. 즉, 그 전까진 병원에서는 정확한 진단을 위해 분자 진단을 할 것임

* 민감도: 병이 있는 사람을 있다고 판정하는 것

* 특이도: 병이 없는 사람을 없다고 판정하는 것

 

3. 매수 관점

 

먼저, '코로나 19 진단 키트' 관련 종목에 무엇이 있는지 정리해보았습니다 (제가 선별한 게 아니라 삼성증권 '업종/섹터/그룹' 검색에서 '코로나19(진단키트)'로 분류된 것 기준입니다. 정확하지 않은 정보가 있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1
2

해당하는 종목들 중 추세가 올해 초를 기준으로 좀 별로다 싶은 것을 제외하고, 다시 추려보았습니다 (제 기준이 틀렸을 수도 있으니 위 종목들을 모두 직접 점검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추세 간단히 보고 필터링 한 것.

각각의 기업들의 주력 사업 내용, 재무제표, 추가 상승 재료 등을 살펴보겠습니다.

  • 에스디바이오센서

<주력 사업 내용>

 

체외진단 전문기업입니다. 체외진단 분야에서도 특히 면역화학 진단, 분자진단, 현장진단(POC), 자가혈당측정 분야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2015년에 메르스, 에볼라, 지카바이러스 항원에 대한 진단시약을 최초로 개발했던 기술력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축적해왔고, 이를 바탕으로 2020년 코로나 19 발병 이후 가장 빠르게 유럽 EMA (9월), 식약처 (11월)에서 항원 진단키트 긴급사용승인을 받아 가파른 실적상승을 한 이력이 있습니다.

 

주요 사업부는 IVD(체외진단) 사업부, 분자진단사업부, IGRA (인터페론-감마검사)사업부, 혈당사업부로 이뤄져있습니다. 항원 항체 진단키트제품을 판매하는 체외진단 사업부의 매출비중이 90% 이상으로 가장 큰 상황입니다.

매출 비중.
STANDARD Q는 신속진단키트에 속함을 알 수 있었습니다.
원재료 현황
생산 및 설비
매출 추이

 

<재무제표>

주식의 총수
최대 주주 1

 

최대 주주 2. 

기타 주주 지분까지 제외시키면, 현재 유동 주식수는 36,403,516주 (35.25%)입니다.

재무제표

 

<추가 상승 재료>

  1. 3분기부터 전문가용 코로나 19 검사 입찰 시장 재개될 전망
  2. 국제기구를 통한 1.8억 달러 수준의 입찰시장 형성 기대
  3. 코로나 진단 키트 관련 허가
  4. 백신 수급이 원활히 되지 않는 저소득 국가에 대한 매출 상승 
  • 바이오니아

<주력 사업 내용>

 

1992년 국내 1호 바이오벤처기업입니다. 2001년 아시아 최초로 실시간 PCR장비와 키트를 개발할 만큼 분자진단과 유전자 연구에 오랜 업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인하우스 자체에 생산과 임상시험, Q/A, 스 크리닝 장비 등 모든 인프라를 갖춘 국내유일의 사업모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은 크게 유전자분석&분자진단, 프로바이오틱스, RNA신약개발로 구분됩니다.

 

프로바이오틱스 사업은 자회사 에이스바이옴에서 담당하며, 식약처에서 유일하게 개별 인정형 원료로 승인받은 체지방 감소 유산균 제품 ‘비에날씬’이 주력제품입니다.

 

RNA신약개발 사업은 SAMiRNA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유전자치료제를 개발하는 사업으로 자회사 siRNAgen에서 추진하고 있습니다.

 

마지막 유전자분석&분자진단 사업에서는 진단키트와 시약 그리고 장비뿐만 아니라 올리고 등 기초 소재를 판매, 공급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핵산 추출과 증폭 장비 그리고 분석 소프트웨어까지 모두 자체개발하여 원스탑 토탈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유일한 분자진단기업입니다.

 

해외 매출은 아시아, 미국, 유럽, 아프리카 순으로 높습니다.

국내 영업 매출
해외 영업 매출

국내에서는 프로바이오틱스 비중이, 해외에서는 시약 비중이 높습니다.

원재료
생산 능력 및 가동률 설명

 

주요 제품별 매출 추이

 

<재무제표>

총 발행 주식 수
최대 주주

기타 주주 지분까지 제외시키면, 현재 유동 주식수는 21,121,040주 (83.78%)입니다.

 

재무제표

 

<추가 상승 재료>

 

  1. 탈모화장품 승인
  2. 프로바이오틱스사 업부 해외 확장
  3. siRNAgen 파이프라인 기술이전계약 등
  4. 코로나 19 진단 키트 관련 허가
  5. 백신 수급이 원활히 되지 않는 저소득 국가에 대한 매출 상승

>4번 관련 이슈; 진단 키트 관련 시약 3개 식약처 허가

식약처 허가 내용.

https://emed.mfds.go.kr/#!CECAB01F010

여기 사이트 들어가서 '바이오니아' 검색하면, 위 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엑셀 자료로도 다운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기기전자민원창구

 

emed.mfds.go.kr

 

  • 랩지노믹스

<주력 사업 내용>

 

체외진단서비스 및 체외진단제품을 개발하는 기업입니다. 설립 이후부터 수행해온 분자 진단서비스를 기반으로 분자진단 DNA칩, PCR키트 등 타겟 제품 개발을 위한 기술력과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암 유전자 및 비뇨생식기 감염 원인균 분석에는 국내에서 독보적인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진단을 위한 키트를 자체제조하기 때문에 원가절감을 통한 가격경쟁력 또한 갖추고 있습니다.

 

매출은 크게 용역매출과 제품매출로 이루어져 있으며 2020년도 별도재무 제표 기준 각각 전체매출의 59%, 37%를 차지했습니다.

 

용역매출의 경우 국내의뢰 기관의 분석의뢰를 받아 일반진단서비스와 분자진단(유전체검사) 그리고 연구용역서비스를 제 공하여 검체(분비물)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매출이 발생하게 됩니다.

 

제품매출의 경우 100% 수출품으로 코로나19 감염병의 전세계적인 확산이 본격화되면서 LabGunTM COVID-19 RT-PCR Kit를 개발하여 수출허가를 받았고, 미국 FDA에서 긴급사용승인을 받아 작년부터 세계 각국에 본격적으로 수출하게 되었습니다.

 

동사의 진단키트 주요 수출지역이 미주와 유럽지역이 아닌 아시아의 비중이 높으며, 동사가 진단키트 수출사업뿐 아니라 국내에서의 진단검사서비스의 매출비중이 높습니다. 

주요 제품 및 서비스
판매 경로
원재료 현황
원재료 가격변동 추이
생산 능력 및 실적
생산 능력 및 실적
매출 추이

 

<재무제표>

주식 총수
최대 주주

기타 주주 지분 제외하고 현재 유동 주식수는 9,645,672주 (84.24%)입니다.

재무제표

 

<추가 상승 재료>

  1. 미국, 인도, UAE 등 고정된 수출국 확보로 분자진단 시약 매출 성장 견고

> 지난 8월 미국과 UAE 향 수출계약 체결로 3분기 실적에 반영될 예정

  1. 국내 선별진료소 등의 코로나 19 분석서비스 매출 안정적

> 국내 코로나 확진자 4차 대유행으로 분석서비스 매출이 견고할 것으로 판단

  1. 타국가 간 장기 공급계약으로 수출 물량 확대
  2. 코로나 진단 키트 관련 허가
  3. 백신 수급이 원활히 되지 않는 저소득 국가에 대한 매출 상승

 

  • 제놀루션

<주력 사업 내용>

 

유전자 기반으로 하는 분자진단기기 사업과 RNAi(Ribonucleic Acid Interference) 연구관련 제품생산 및 서비스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1) 핵산추출시약

회사의 주력사업인 체외진단사업은 인체유래물질(객담, 혈액, 혈장, 혈청, 뇌척수액, 소변 등)로부터 DNA 또는 RNA를 추출하여 병원균의 유무를 확인이 가능하게 하는 핵산추출제품을 개발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현재 식약처에 등록된 핵산추출제품으로는 NX-48 Bacterial DNA Kit 외 13종이며, 이 제품은 종합병원 및 검사수탁기관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또한, 제품의 품질과 안정성을 보증하기 위하여 품질경영시스템을 도입하여 제품의 생산부터 판매까지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2) 핵산추출장비

회사에서 개발한 핵산추출장비인 Nextractor는 다양하고 많은 양의 시료로부터 DNA 또는 RNA를 연구자가 직접 추출하는 불편을 해소하고자 개발한 장비이며, 기존 핵산추출장비와 비교했을 때 시간을 크게 단축시켜 빠르고 효율적으로 실험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현재 식약처에 제품이 등록되어있으며, 이 제품은 종합병원 및 검사수탁기관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3) RNAi

RNAi 사업은 연구자들이 생체내의 유전자 기능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보편적인 기술로 사용되는 RNAi 기술에 근간을 둔 사업입니다. 당사에서 제공하는 small RNA(siRNA, miRNA, shRNA) 를 이용한 RNAi 기술 및 관련 제품(Transfection Reagent, RNA Extraction kit 등)을 국내 학교, 연구소 그리고 일부 기업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Long dsRNA 합성서비스의 경우, 농축산분야의 차세대 작물보호제 및 개량 작물 연구개발을 위한 유전자 발굴 및 제품개발에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국외 대학, 연구소, 글로벌 농화학회사 및 벤처 농업생명회사 등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사업분야별 주요 제품 현황
매출실적
판매 활동

(국내)

  • 거래처 운영형태 (병원, 수탁기관)
  • 일부는 직접 거래

(해외)

  • 중국 및 동남아 (태국, 인도, 말레이시아, 파키스탄, 타이완, 홍콩 등)
  • 유럽지역 (이탈리아, 스페인, 루마니아, 독일)
  • 중동지역 (이스라엘, 아랍에미리트, 이란, 터키)
  • 중남미지역 (콜롬비아 등)
  • 캐나다

> 대리점을 선정하여 영업을 진행하고 있거나 대리점 계약 체결 단계에 있다고 합니다.

 

판매 경로
원재료 매입 현황
원재료 제품별 비중
생산 능력 및 실적

<재무제표>

주식 총수
최대 주주

기타 주주까지 제외하면 현재 유동 주식수는 6,741,897주 (70.47%)입니다. 

재무제표

 

<추가 상승 재료>

  1. 아시아 지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 대한 수출 성장
  2. 코로나 진단 키트 관련 허가
  3. 백신 수급이 원활히 되지 않는 저소득 국가에 대한 매출 상승

 

 

4. 매도 관점 (= 매수 반대 관점)

 

매수 관점에서는 앞으로의 진단키트 시장을 긍정적인 측면에서 바라보았는데요,

매도 관점에서는 앞서 나온 내용들 중 반박할 것은 없는지, 다르게 해석할 수 있는 것은 없는지 등을 살펴 중립적인 관점에서 투자 판단을 돕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우선, 리포트 내용을 다시 한 번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그리고, 그 논리를 바탕으로 개별기업에 대한 판단을 다시 해보겠습니다.

  • 진단 검사 관리를 강화했다고?

9월 15일 한투 김형수 애널이 작성한 내용을 보면,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

2021.09.15. 제약&바이오 한화투자증권 김형수

위드 코로나로 가면, 무료 진단 검사 범위를 확대하고, 검사소, 약국, 우편으로 검사키트를 배송해주고 스스로가 관리 가능하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진단 수요는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는데 해당 내용은 이미 작년부터 시행되고 있던 내용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내용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지 않나 생각합니다.

 

  • 자가 검사 시 조작법? 정확성?

https://youtu.be/nJl5N-7-ik4

모든 진단키트들이 해당되는 내용은 아니겠지만, 전문기관에서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에게 맡기는 진단 검사 결과는 충분한 신뢰를 주기엔 어려울 것 같습니다.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48108 

 

자가검사키트 허가 앞두고 의료계 왜 취소 요구할까

국내 자가검사키트 개발사인 에스디바이오센서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자가검사키트. 에스디바이오센서 제공식품의약품안전처가 조건부 허가한국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

www.dongascience.com

 

올해 7월 기사입니다.

전문가들이 우려하는 점은 PCR 검사에 비해 자가검사키트가 정확도가 매우 낮음에도, 대중이 코로나19 진단용으로 의존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최근 4차유행을 유발했다는 판단도 나왔다. 박영준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팀장은 15일 정례브리핑에서 "실제로는 감염자인데 자가검사키트에서 음성이 나와 일상생활을 하다가 나중에 증상이 심해진 뒤에야 PCR 검사로 양성을 확인한 사례도 있을 수 있다"며 "이 때문에 조용한 전파가 좀 더 이뤄졌을 것"이라고 말했다. 

 

  • 백신 접종률이 높더라도 진단 키트 수요는 지속될 것이다 vs 아니다 (백신 접종률-진단 수요 상관관계)

2021.09.15. 제약&바이오 한화투자증권 김형수. 에스디바이오센서 내용 중 일부

진단키트 기업 매출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백신 접종률이 높을수록 진단 수요가 감소한다는 논리는 부정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아직 전 세계 백신 접종률이 약 44%인 점을 고려했을 때, 아직 백신 접종률이 높지 않은 국가들, 그리고 저소득 국가들을 대상으로 하는 수요는 어느 정도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러면,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기업들과의 경쟁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것이 핵심일 것입니다.

 

  • 백신 보급 안정화 후를 생각해보자

만약 전 세계적으로 백신 보급이 안정화가 된다면?

 

매수 관점에서는 병원에서 독감 환자 검사할 때 키트가 쓰이듯이 환자가 감기인지 코로나인지 검사할 때 수요가 있기 때문에 괜찮다고 판단했습니다.

 

하지만, 그 수요와 지금까지 임시 검사소에서 많은 사람들이 내가 코로나인지 아닌지 판별하는 수요를 비교했을 때 대충 생각해봐도 후자가 훨씬 많을 것입니다. 거기에 신속항원항체키트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안정화시킬 능력이 없는 기업이라면 더욱 실적이 하락할 것입니다.

 

 

이제, 위에서 다룬 개별 기업을 차례대로 다시 보겠습니다.

 

일단 사업 내용에서 백신 접종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국가들을 대상으로 영업하는 기업은 제외해야 할 것 같습니다.

여기에서 유럽향 매출이 높았던 에스디바이오센서는 아웃입니다.

 

다음으로 재무제표입니다.

바이오니아 재무제표
랩지노믹스 재무제표
제놀루션 재무제표

바이오니아에서 영업이익률이 작년에 비해 줄어들은 점이 걸려 바이오니아도 제외하겠습니다.

 

랩지노믹스와 제놀루션 두 기업이 남았는데, 글로벌 시장 점유율과 기술력 우위에 대한 부분은 이 글에선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5. 개인적 의견

 

👏🏻👏🏻 매수 관점의 논리와 매도 관점의 핵심 논리만 한 번 더 정리하고 제 생각을 적어보겠습니다.

 

<매수 관점 논리>

  • 백신 수급 불균형으로 백신 아직 못 맞은 국가들은 진단 수요 늘 것
  • 백신 접종률 높고, 코로나 치료제 나오더라도 정확한 진단을 위해 분자 진단 수요는 계속될 것

<매도 관점 논리>

  • 실제로 백신 접종률 높은 국가 대상으로의 진단 수요 매출은 감소했다.
  • 자신이 코로나인지 아닌지 판별하는 진단 수요와 병원에서 코로나 판별을 위한 진단 수요 수를 비교했을 때, 전자만큼의 매출이 나오겠냐

 

저는 올해 말, 그리고 넓게 봐서 내년 1분기까지는 아직 백신 수급이 제대로 되지 않은 국가들 대상으로 하는 진단 수요는 인정할 수 있으나, 백신이 전 세계적으로 70% 이상 공급된다면 진단 수요가 과거만큼 늘어날 지 실적을 눈으로 확인하기 전까지는 부정적인 입장일 것 같습니다. 매수 관점으로 본다면, 랩지노믹스와 제놀루션 두 기업을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또, 이 기업들이 코로나 진단 키트 관련 사업만 하는 것이 아니니 다른 사업들도 한 번 점검하고 투자 결정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저는 현재 이 글에 언급된 모든 종목 중 어느 것도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 이 글은 투자 권유 글이 아닙니다.

※ 모든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