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제약&바이오/기본 개념

제약&바이오 산업 약어 정리: 임상 관련 -2편-

by |Jerry| 2021. 9. 23.

항암치료제에 대한 반응평가 (Response Evaluation Criteria in Solid Tumors, RECIST) 관련 약어

 

CR (Complete Response:, 완전관해): 모든 target 병변이 소실된 상태. 즉, 다 나은 사람이 얼마나 있는지 평가한 것.

PR (Partial response, 부분관해): Target 병변의 단일직경의 합이 최소 30% 감소한 상태.

SD (Stable disease, 안정병변):  치료시작 후 target 병변이 30% 미만 감소하거나 20% 이상 증가하지 않는 상태.

PD (Progression disease, 진행병변): 치료시작 후 target 병변이 20% 이상 증가하거나 새로운 병변이 생긴 상태.


유효성·안전성 평가 관련 약어

 

DCR (Disease Control Rate, 질병관리률): 항암제의 임상시험에서 CR, PR, SD 환자의 비율.

ORR/RR (Objective Response Rate, 객관적 반응률, 부분 반응률): 항암제의 임상시험에서 CR, PR 환자의 비율.

CBR (Clinical Benefit Rate, 임상적 이득률): 항암제의 임상시험에서 CR, PR, ≥24주의 SD 환자의 비율.

 

OS (Overall survival, 전체생존시간): 무작위배정부터 사망 까지의 시간.
PFS (Progression‐free survival, 무진행생존시간): 무작위 배정부터 객관적인 종양진행 혹은 사망까지의 시간.
DFS (Disease‐free survival., 무질병생존시간): 무작위 배정 부터 재발 혹은 사망까지의 시간.
TTP (Time to tumor progression, 종양 진행까지의 시간): 무작위배정부터 종양진행이 관찰될 때까지의 시간. 단, 종양 진행이 없는 사망은 제외시킴.


ECOG PS(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Performance status): 전신수행상태 단계 (0~5)

 

0: 무증상으로 정상 활동 능력이 있는 상태

1: 증상이 있으나 거동할 수 있으며 가벼운 일을 할 수 있 는 상태

2: 증상이 있으며 주간에 50% 미만으로 침대 또는 의자에서 보내며 경우에 따라 간호가 필요한 상태

3: 증상이 있으며 주간에 50% 이상으로 침대 또는 의자 에서 보내며 간호가 필요한 상태

4: 거동이 불가능하며 누워서 지내는 상태

5: 사망


기타 약어

(학문 관련)

PK (pharmacokinetics, 약동학): 약물의 혈중 농도를 측정해 흡수·분포·대사·배설 등 과정을 속도론 관점에서 연구

PD (pharmacodynamics, 약력학): 체내에서 일어나는 약물의 생리학적·생화학적 변화나 약물상호작용을 연구.

 

(내성 관련)
Drug tolerance (내약성): 환자가 약을 복용할 때 부작용이나 불편함을 견뎌낼 수 있는 정도
Immunogenicity(면역원성): 바이오의약품(생물학적제제) 투여 후 시간이 지나면서 약물에 대한 항체(ADA, anti-drug antibody)가 생겨 치료효과가 떨어지는 반응

 

(용량 관련)

RP2D (Recommended Phase 2 Dose): 임상2상 권장용량

MTD (Maximum Tolerated Dose): 부작용 발생하지 않고 환자가 견딜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최대 용량인 최대허용용량

댓글